반응형

사람이라면 누구나 내집마련을 꿈꾼다. 내집이 있고 없고는 삶의 질이 다르다. 평생을 전월세로 살수는 없으며, 언젠가는 내집이 있어야 안정적인 생활을 꾸려갈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풀현금으로 집을 사기는 어렵고, 주택담보대출로 부족한 현금을 채워서 집을 사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의 뜻은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것이다. 요즘에는 주담대를 이자만 내지 않고, 원금과 함께 갚아나가는 방식이 기본이다. 따라서, 매달 원리금이 얼마나 나가는지 미리 계산해보는 것은 필수적이다.

 

주택담보대출 계산기를 이용하면 누구나 쉽게 대출에 대한 원리금을 계산해볼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중인 네이버 주택담보대출 계산기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먼저, 네이버 어플 검색창에서 '주택담보대출 계산기'를 검색한다.

 

 

주택담보대출 까지만 쳐도 '주택담보대출 계산기'가 자동완성되어 나온다.

'주택담보대출계산기'를 검색해보자.

 

 

 

위 화면과 같이 이자계산기가 나온다.

 

여기서부터 중요하다.

대출받을 금액을 2억원, 대출금리는 2.3%, 상환기간은 30년, 원리금균등상환 이라고 가정하고 실행해보자.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1. 대출금액 : 200,000,000

2. 대출기간 : 30

3. 연이자율 : 2.3

4. 상환방법 : 원리금균등

 

그리고 '계산하기'를 누른다.

 

 

 

그러면, 위와 같은 정보가 나온다.

대출원금 : 200,000,000원

총 대출이자 : 77,056,929원

총 상환금액 : 277,056,929원

1회차 월 상환금액 : 769,603원

 

원리금균등은, 매월 원금과 이자를 균등하게 나누어서 상환하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매월 원리금이 계속 같게 된다.

 

 

1회부터 13회까지 769,603원을 내게 된다.

 

 

 

 

14회부터 26회도 마찬가지. 대출잔금은 점점 줄어든다.

 

360회차에 마지막 원리금을 내면 모든 대출은 끝이 난다.

 

이번에는, 원금균등상환 방식으로 계산해본다.

 

 

 

 

위와 동일한데, 원금균등으로 선택하고 '계산하기'를 누른다.

 

1회차 월 상환금액이 나왔다.

월별 938,889원이다.

 

원금균등상환보다, 월별 금액이 약 17만원정도 많은데, 대체 왜그럴까?

 

 

원금균등 상환의 뜻은 대출원금을 360회(3년 기준)으로 하여, 원금을 360회 나누어서 갚는다.

원리금이 대출잔액에서 빠져나갈 경우 점점 원리금이 줄어들게 된다.

 

원금은 고정인데 대출잔액을 기준으로 이자가 책정되기 때문이다.

 

 

 

26회차까지 원리금이 조금씩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360회차가 될때까지 원리금은 점점 줄어든다.

 

초반에 목돈을 빨리 갚을 수 있으면, 처음에 원리금을 많이 상환하는 원금균등분할상환이 좋다. 그게 아니고 천천히 적은 원리금을 갚고 싶다면 원리금균등분할상환을 추천한다.

반응형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메리츠화재 고객센터 전화번호를 알아보도록 하자.

살다보면, 그동안 가입해 두었던 보험의 계약을 문의 및 변경하거나 보험계약대출을 갑자기 받아야 할 일이 생기기도 한다.

또한, 갑작스런 교통사고를 당하거나 차에 문제가 생겨서(기름이 떨어지는 주유 문제 및 배터리 방전 같은 상황 포함) 사고접수 혹은 긴급출동이 필요한 경우가 은근히 많다.

신규로 보험가입이 필요한 일도 있는데
그럴경우 1688-7711
여기로 전화하면 된다.

그래서, 이번에는 메이저 보험사들인 메리츠화재와 현대해상의 고객센터 전화번호를 정리해보았다.

1. 메리츠화재 고객센터 전화번호
- 신고센터 전화번호

먼저, 신고센터 중 보험범죄에 대한 신고접수를 할 수 있다.
전화제보는 02-3707-8521
고의로 보험사고를 유발하여 보험금을 편취하거나 사기적인 방법으로 보험계약을 체결하는 등의 보험범죄 행위에 대해서 신고할 수 있다.


보험가입차별에 대해서 신고할 수도 있다.
전화접수는 02-730-6363
손해보험협회는 장애인 및 장기기증자가 보험가입 시 부당하게 차별 받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2009년 6월 8일부터 신고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있으므로, 여기에 신고하면 된다.

- 영업점별 전화번호

1. 서울

영업점 도로명 주소 전화번호
수도권1고객센터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82, 3층 02-3786-1981
강북창구 서울 노원구 노해로 502,KT플라자 메리츠화재 7층(상계동) 02-950-3780
역삼MFC본부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518, 9층(대치동,한국섬유산업연합회) 02-3786-2401
강남명문본부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다길 42,11층(신천동,한국루터회관) 02-6480-6972
노원제일본부 서울 노원구 노해로 502,KT사옥 7층(상계동) 02-950-6802
동서울본부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 35다길 42 10층(루터회관) 02-6480-6600
동서울2본부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다길 42,6층(신천동,한국루터회관) 02-6360-8701
서울1본부 서울 중구 서소문로 50 11층 02-6360-8402
중앙본부 서울 중구 서소문로 50, 11층 중앙본부 02-6360-8651
마포본부 서울 중구 서소문로 50,10층 마포본부(중림동,CENTRAL PLACE) 02-2090-5702/5900

 

반응형

 

 

영업점 도로명주소 전화번호
구리중랑본부 서울 중랑구 망우로 271, 6층 (상봉동,서울중랑우체국빌딩) 02-6454-1302
강남1본부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35다길 42, 12층 강남1본부 (신천동, 한국루터회관) 02-6480-6501
상계비전본부 서울 노원구 노해로 502 kt전화국 6층 메리츠화재 02-950-8402
대흥본부 서울시 중구 서소문로 50 (중림동, CENTRAL PLACE) 02-3780-4701~4
강남MFC본부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518, 8층 강남MFC본부(대치동,한국섬유산업연합회) 02-3451-4601
온라인 금융지원센터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82,23층 온라인 금융지원센터(역삼동,메리츠타워)  
송파본부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다길 42, 12층 강남2본부 (신천동,한국루터회관) 02-6480-6800
서울베스트본부 서울 중구 서소문로 50,11층 메리츠화재 서울베스트본부(중림동,CENTRALPLACE) 02-6360-8401
서울본부 서울 중구 세종대로 55,5층 메리츠화재 서울본부(태평로2가,부영태평빌딩) 02-2286-8902

 

반응형

 

 

영업점 도로명주소 전화번호
역삼MFC3본부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518 9층 역삼MFC3본부 02-3786-2406
강남MFC3본부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518, 8층 강남MFC3본부(대치동,한국섬유산업연합회) 02-3451-4604
잠실2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다길 42,10층(신천동,한국루터회관)  
강남3본부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다길 42,12층 메리츠화재 강남3본부(신천동,한국루터회관) 02-6480-6501
강서본부 서울 강서구 양천로 357 5층 강서본부(가양동,려산빌딩)-고객방문업무불가(보험금청구,변경업무등 불가) 02-6678-5252
노원본부 서울 노원구 노해로 502 KT건물 7층 메리츠화재 노원본부 (상계동, KT사옥) 02-950-6802
강남MFC2본부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518, 8층(대치동, 한국섬유산업합회) 02-3451-4656
영등포본부 서울 구로구 경인로 661, 신도림푸르지오101동 핀포인트 16층 영등포본부 0266785451
마포비전본부 서울 중구 서소문로 50 ,10층 마포비전본부(중림동,CENTRAL PLACE) 02-3140-4500 / 4502 / 3101

 

반응형

 

 

영업점 도로명주소 전화번호
역삼MFC2본부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518, 9층 역삼MFC2본부(섬유연합회빌딩) 02-3786-2403
장기보상손해조사센터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2길 11, 7층(여의도동, 메리츠화재여의도사옥)  
중앙대물보상센터 서울 중구 세종대로5길 40, 2층 (봉래동1가,메리츠화재3빌딩) 1566-7711
수도권손사2센터 서울 중구 세종대로5길 40 메리츠화재3빌딩 4층 02-6464-3806
수도권손사1센터 서울 중구 세종대로55, 부영태평빌딩 5층 02-6464-3800
장기보상효율화TFT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5길 40 메리츠 봉래3빌딩(봉래동1가,이프라자)  
장기보상업무개선센터 서울 영등포구 국제금융로2길 11,7층(여의도동,메리츠화재여의도사옥)  
수입차보상1센터 서울 중구 세종대로 55,5층(태평로2가,부영태평빌딩)  
장기보상리스크관리센터 서울 중구 세종대로5길 40,메리츠화재(봉래동1가,메리츠빌딩봉래3빌딩)  
수도권손사3센터 서울 중구 세종대로5길 36 메리츠화재 2빌딩 3층 02-6464-3811
중앙대인보상센터 서울 중구 세종대로5길 40, 2층 (봉래동1가,메리츠화재3빌딩) 1566-7711

 


마지막으로 계약관리/사고접수/고장출동 등 24시간 종합적인 고객센터 업무가 필요할경우
1566-7711
여기로 전화하면 된다.

보험계약대출 전용 전화번호는
1599-6393
여기로 전화하면 된다.

반응형
반응형

주말이 되면서 더우면서 비까지 내리는 매우 고온 다습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갑작스러운 기후변화에 벌써 올해 2021년의 장마기간은 언제인지 궁금해지는 상황이다.

아직 5월이지만 장마 시기를 걱정해야 하는 날씨라니...

 

날씨가 따뜻하다 못해 더워졌지만 캠핑족들이나 아웃도어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에게는 장마기간이 달갑지는 않다. 그래서 사전에 장마기간을 피해서 다녀오는 편이 가장 좋다.

 

아무튼 올해 2021년의 장마기간은 언제인지 알아보자.

 

 

 

 

먼저 작년, 재작년 등 최근 3개년간 평균 자료를 보면 대략적으로 예측해볼 수 있다.

 

기상청 홈페이지의 기상자료개방포털에 보면, 평균적인 데이터들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다.

장마는 보통 장마전선이 남쪽에서 나타나 북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제주지방 -> 남부지방 -> 중부지상 순으로 올라간다.

 

올해 2021년도 작년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중부지방의 경우 평균적으로 6월 25일에 시작하며, 약 한 달 뒤인 7월 26일에 장마가 종료된다.

남부지방의 경우 6월 23일에 시작해서 7월 24일에 장마가 끝난다.

제주지방의 경우 6월 19일에 시작해서 7월 20일에 장마가 끝나게 된다.

 

 

지역별 평균 강수량과 강수일수를 살펴보면, 중부지방이 편차가 큰 편인듯 하다?

특히 2020년 851.7mm로 가장 많은 강수량을 보여주었다.

 

그 다음으로는 남부와 제주도가 비슷한 수준의 강수량을 보여주었다.

 

 

 

 

지역별로 시작일과 종료일을 분석해보면,

장마 시작일은 중부와 남부가 6월 24일로 동일하다. 제주도는 6월 10일에 2주나 빠르게 시작한다!

 

장마 종료일은 중부와 남부가 대략 7월 28일~29일로 비슷하다. 제주도는 2020년 7월 28일에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