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티스토리를 시작하고, 애드센스를 신청해서 승인받고 나면 조금씩이나마 쌓이는 수익에 여러가지 궁금증들이 생기기 마련이죠.

 

애드센스와 관련된 여러가지 궁금증들을 FAQ형식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하나씩 차근차근 봅시다!

 

Q. 애드고시 승인 기준은? 어떻게 하면 합격하나요?

 

A. 사실 구글 측에서도 명확하게 답변을 준 것은 없습니다만, 많은 사람들이 한 번 혹은 두 번만에 합격한 공통적인 비결은 확실히 있어 보입니다.

 

- 정보성 글이든 본인의 일상이든 자기만의 글을 쓸 것

- 1일 1포스팅처럼 꾸준한 주기로 글을 쓸 것

- 가급적이면 같은 카테고리의 글을 꾸준히 쓸 것

- 너무 짧게 글을 쓰지 말 것(최소 500자~1000자)

 

이런 기본적인 것들만 잘 지키면 애드고시를 통과하기는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봅니다.

 

Q. 애드센스로 번 돈을 지급하는 기준액은 얼마인가요?

 

A. 먼저, 애드센스로 광고비가 많이 누적되었을 겁니다. 사실 누구나 빨리 받고 싶은 마음이 클 수 밖에 없는데요. 일단 구글에서는 애드센스 지급 기준액을 달러 기준으로는 $100(100달러)로 정해두고 있습니다.

 

 

 

 

 

미국 달러 외에 호주달러, 유로, 엔 등으로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Q. 애드센스 지급 통화도 변경되나요?

 

A. 변경은 안된다고 합니다. 변경하려면 해지하고 다시 가입하거나 다른 계정으로 애드센스를 신청해서 승인 받은 후에 다른 통화로 설정하는게 좋겠죠.

 

Q. 애드센스 핀번호 발송은 언제하나요?

 

A. 애드센스 광고수입이 누적되어서 $10(10달러)를 넘게 되면, 계정에 등록해 놓은 주소 확인을 위한 핀번호를 발송하게 됩니다. 그 계정이 정확한지 확인하기 위한 절차이구요. 핀번호를 수신하면 그 핀 번호를 애드센스 계정에 입력하면 됩니다.

 

Q. 애드센스를 위한 은행계좌는 어디가 제일 좋고 추천할만한가요?

 

A. 애드센스용 은행계좌는 송금수수료가 가장 중요합니다. 다른 은행은 건당 무려 1만원이라는 수수료가 있는데요. SC제일은행의 경우 $300 미만일 경우 송금수수료가 면제됩니다.

$300 이상일 경우에는 카카오뱅크나 우체국을 추천하는데, 건당 수수료가 5,000원이거든요.

 

 

반응형

'애드센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드센스 핀번호(PIN) 메일 도착! 이제 입력만~  (0) 2021.04.29
반응형

최근에 한화시스템을 비롯한 한화 그룹사들이 합쳐서 UAM 시장을 장악하겠다는 뉴스가 있었는데요.

이에 맞서서 UAM 시장 장악을 위해 현대차그룹과 LIG넥스원, 한국항공우주(KAI, 카이)와 함께 동맹 및 기술과 인프라협력을 추진한다는 소식이네요.

UAM(도심항공교통) 약자, 뜻?

 


먼저 UAM의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UAM은 Urban Air Mobility의 약자로, 즉 도심항공교통이란 뜻이구요. 미래 스마트시티의 교통서비스 체계라고 볼 수 있는데요.

쉽게 말해서 수직으로 이착륙이 가능한 개인용비행체 이동수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서울 같은 대도시의 도심지역, 지상 교통이 심각하게 혼잡한 곳에 해결할 대안으로 꼽히고 있죠.

 

왜 3자 동맹인가?

 

 

 

 

지금까지 국내 UAM 시장 조성 단계에서 메인 역할을 해온 건 현대차그룹과 한화시스템였었죠.

두 회사는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서

1. 비행체(기체 설계/양산/항공 부품/배터리)
2. 인프라(건축·건설·전력·도심 개발)
3. 서비스(운항·통신·금융)

부문 간 유기적 결합을 목표로 여러 관련 기관과 업무협력을 맺어왔죠.

현대차그룹은

KT(통신)
현대건설(인프라)
인천국제공항공사(인프라)
항공안전기술원(연구개발)
한국항공대(연구개발)
수출입은행(금융)
등과 손을 잡은 이력이 있죠.

반면에 한화시스템은

SK텔레콤(통신)
한국공항공사(인프라)
한국교통연구원(연구개발)

등과 손을 잡는 등 각자의 행보가 상당부분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LIG넥스원과 한국항공우주(KAI)는 방산업체이긴 하지만요. 사실 실제로 현대차가 원하는 건 두 회사의 '항공 기술'입니다.

왜냐하면 자동차를 굴리는 게 아니라 상공에 날려야 하기 때문이죠.

KAI는 수직 이착륙 및 비행체 개발 노하우를 갖고 있구요.

LIG넥스원은 항공전자 체계 설계와 비행 제어 등의 기술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동안 방산분야는 성장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힘든 타이밍이었죠.

이런 상황에서 LIG넥스원과 한국항공우주(KAI) 입장에선 현대차그룹이라는 형과 같은 파트너가 생기는 것이죠. 현대차그룹 입장에서는 기술협력에 든든한 지원군이 생기는 것이구요.

UAM 시장의 규모는?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는 전세계 UAM 시장이 지난해 70억달러에서 2040년이면 무려 1조4740억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연평균 성장률이 30.7%에 이르는 초고속 성장을 전망한 것이죠.

그 외에 국내 삼정KPMG 경제연구원은 지난해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요. 2030년이면 전 세계 UAM 이용자가 1,200만명에 이르고, 2050년이면 무려 4.45억명이 UAM 승객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라 몇 노선들의 정차역들이 나오고 있는데요.

그 중에서 위례과천선, 인천2호선 연장, 대장홍대선, 송파하남선, 위례삼동선의 노선도와 정차역을 정리해봤습니다.

위례과천선 노선도 및 정차역

 

위례과천선(위과선) 노선도 정차역

위례과천선의 노선도는 위와 같구요.

정차역은

1. 복정역(8호선 환승)
2. 세곡사거리
3. 수서역(3호선, 분당선, SRT 환승)
4. 삼성병원
5. 구룡역(분당선 환승)
6. 양재시민의숲(신분당선 환승)
7. 우면동
8. 경마공원역(4호선 환승)
9. 정부과천청사역(4호선, GTX-C 환승)

이렇게 예상됩니다.

이 중에서 기존에는 없었는데 이번에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라서 정부과천청사역이 추가되었습니다.

인천2호선 연장 노선도 및 정차역


이번에 발표된 노선은 인천2호선 연장인데요.

 

 

인천2호선 연장 노선도는 위와 같구요.

정차역을 보면,

1. 킨텍스역(GTX-A 환승)
2. 주엽(3호선 환승)
3. 후곡
4. 일산
5. 현산초
6. 큰마을(혹은 탄현중산, 한뫼공원)

이렇게 보시면 되겠습니다.

대장홍대선 노선도 및 정차역



대장홍대선 노선도 정차역

 

 

 


노선도는 위와 같구요.

대장홍대선의 정차역은

1. 부천대장지구
2. 원종
3. 고강
4. 신월
5. 화곡(5호선 환승)
6. 강서구청
7. 가양(9호선 환승)
8. 상암
9. 디지털미디어시티(6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환승)
10. 홍대입구(2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환승)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신구로선 노선도 및 정차역

 

 

 

 


이번에는 신구로선입니다.
신구로선의 정차역은

1. 시흥대야(서해선 환승)
2. 옥길
3. 항동
4. 온수(7호선, 1호선 환승)
5. 궁동
6. 개봉
7. 고척
8. 양천구청(2호선 환승)
9. 목동(5호선 환승)

이렇게 보시면 되겠네요.

위례삼동선 노선도 및 정차역



위례삼동선 노선도 정차역

위례삼동선의 노선도는 위와 같구요.

정차역은

1. 위례중앙역
2. 위례푸른초사거리
3. 을지대
4. 남한산성입구(중앙병원)
5. 신구대
6. 중원경찰서(중원보건소역)
7. 성남산단오거리
8. 삼동

이렇게 보시면 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